메인콘텐츠 바로가기
  • Home
  • 교수지원
  • Teaching Tips

Teaching Tips

효과적인 질문방법 02

작성자 : 관*자 | 작성일 : 2017.03.22 | 조회수 : 778
* 질문하기
: 학생들로부터 반응을 얻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가 ‘학생들이 대답을 할 수 있는 질문을 한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정답이 뻔한 질문을 하면 대체로 반응을 얻기 힘듭니다.

1. 대답의 유형별로 질문을 구분한다.
- 닫힌질문 : 정답이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 질문
- 수렴적 질문 : 정답이 여럿 존재하는 질문
- 발산적 질문 : 정답이라고 볼 수 있는 대답이 여럿 존재하는 질문
- 열린 질문 : 정답이 아예 없는 질문

열린 질문 쪽으로 갈수록, 의견을 묻는 질문일수록 학생들이 더 많이 참여합니다. 정답이 있는 질문에는 대답이 틀릴 수 있다는 부담이 있습니다. 그러나 의견을 묻는 질문에는 적합한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틀릴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부담을 적게 줄수록 학생들의 참여를 더욱 활발하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2. 교육 목적 단계별로 질문을 구분한다.
암기된 지식을 요구하는 질문은 학생이 예습, 복습을 했는가를 테스트할 뿐 학생들에게 지적 도전심을 유발하지는 못합니다. 학생들의 사고력을 테스트하려면 질문은 좀더 높은 교육 목적 단계로 올라가야 합니다. 그러나 내용을 겨우 이해할까 말까 하는 학생들에게 판단을 요구하는 질문을 하면 학생들은 포기합니다. 학생들의 수준을 감지하고 한 단계 정도 위로 끌어올리는 질문을 하면 학생들의 성취 욕구와 도전심을 발동시킬 수 있습니다.

3. 누가 질문하고 누가 대답하는가로 질문을 구분한다.
- 교수/교수 : 교수가 질문하고 스스로 대답하는 경우
- 교수/학생 : 교수가 질문하고 학생이 대답하는 경우
- 학생/교수 : 학생이 질문하고 교수가 대답하는 경우
- 학생/학생 : 학생이 한 질문에 다른 학생이 대답하게 하는 경우

교수님께서 제시한 질문에 학생이 대답하면 일단 성공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학생들에게 다시 질문하면 그 질문의 효과가 더욱 커질 것입니다.
학생이 먼저 질문을 한 경우 교수님께서 대답하기 전에 다른 학생이 대답할 기회를 줄 수도 있겠습니다.
대답만 요구하지 않고 대답이 가능하도록 질문을 다시 해보라고 하는 고난도 기술입니다. 학생들 스스로 발산적이거나 열린 질문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교수님께서 자주 만들어주시는 것이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교육입니다.